목록막가는 글 (89)
삶의 나침반
외국에 살면서 제일로 어려운 것은 언어장벽인것 같다. 단지 대화만 잘 통하지 않는다면 그나마 다행인데, 모든 일을 외국어로 처리하려고 하다보면 나의 사고나 인지능력이 제한 된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특히나, 모국어인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일에 대해 사람들과 논의를 하다보..
5월에는 어린이날이 있다. 미국은 특별히 어린이날이 없지만, 아이들을 심하게 채벌하거나, 집에 혼자 놓아두거나, 학대같은 것이라도 있으면 경찰이 와야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아이들에 대한 인권(?)에 대한 법적제도가 그나마 구색을 갖추어 놓은 상황이다. 한국에 사는 어린이들은 이..
이름을 대면 알만한 한국의 한 대형교회의 주보에서 따온 광고문안이다. 나는 헌금를 낸다는 것에 대해 비판을 가하려고 하는 마음은 없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자기의 재물을 떼어서 낼 수 있다는 그 마음을 시험받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매우 귀중하고 필요한 도전이다. 나는 또한 교회..
아마 한국은 이런 문제가 아직까지는 심각하게 논의되어지지는 않겠지만, 이미 유럽이라든지 미국은 gay marriage (동성 결혼) 을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할 뿐더러, 유명 일간지 같은 곳의 커버스토리로 이미 여러 차례 다루어지고 있다. 미국에서..
몇주 전에 아내가 드래곤연을 사왔다. 마침 바람이 많이 부는 것 같이 느껴졌는데, 상점에서 연을 봤다길래 하나 사오라고 재촉했었다. 말로는 아이들 때문이었지만 사실은 나도 연을 날리고 싶었다. 내가 언제 마지막으로 연을 날렸었나.. 생각해 봤다. 10년도 넘었고, 20년도 넘었던 것 ..
금요일점심마다 모이는 성경묵상 모임때 이야기했던 것입니다. A part of my story- How I believed in God March 2008, Seung-Jae Kim I don’t exactly remember when I began to have faith in God. I juts followed my parents to church when I was about 5 or 6 years old. My parents became Christian, so it was natural for me to follow their example and become a C..
30년대 초의 미국의 신학자 '라인홀트 니이버'란 사람은 13년간 디트로이트시의 포드 자동차 공장지대에서 교회를 목회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란 책을 서술했다. 이 책은 미 인권대통령으로 알려진 지미카터의 애독서였고, 한때의 한국에서도 젊..
얼마전에 재미난 과학연구발표를 신문을 통해 읽게 되었다. "한개의 유전자가 꿀벌들이 하는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제목의 연구*였다.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왜 과학자들이 유전자연구에 박차를 가하는지는 알고 있다. 옛날에는 고유의 유전자에 따라 외부로 발현되는 기능이..
I. 유타에 있었을 때, 같은 학과 한국유학생후배와 가끔 종교얘기를 하곤 했었다. 결론이 없을거라는 것을 서로 알면서도, 한번 이야기가 시작이 되면 성경의 하나님을 믿는 나의 입장과 성경의 하나님을 믿지 않는 후배의 입장은 좁혀지기는커녕, 빙빙 돌고 돌아 서로 감정적인 상처만 주고 끝나기 십..